고용지원금·청년지원금, 어떤 정책들이 있을까?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 고용지원금·청년지원금, 어떤 정책들이 있을까?

청년을 위한 일자리 지원 정책은 많지만, 막상 내 상황에 맞는 걸 찾는 건 쉽지 않죠.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일경험이 적거나 근로조건이 열악했던 청년일수록
쉬는 기간이 길어지고, 장기 미취업 청년 4명 중 3명은 불안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정부도 이런 현실을 인식하고, 청년의 구직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고용지원금·청년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실제 도움이 되는 대표적인 두 가지 제도를 정리해볼게요 👇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 채용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기업이 ‘취업 애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일정 기간 고용을 유지하면
정부가 최대 월 60만 원씩 1년간, 총 720만 원을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 만 15세~34세 이하의 취업 애로 청년

  • 청년을 채용한 우선지원 대상기업(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유형내용지원금액
Ⅰ형 (기업지원형)기업이 청년을 신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인건비 일부 지원월 60만 원 × 12개월 (총 720만 원)
Ⅱ형 (청년근속지원형)청년이 1년 이상 근속 시 청년 본인에게 근속 인센티브 지급근속 장려금 또는 자산형성 지원금 형태

Ⅰ형은 기업의 신규채용을 촉진하는 구조,
Ⅱ형은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청년은 안정적인 근무환경과 실질적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경기도)

이 제도는 경기도 거주 청년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복지 향상과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지원금 제도입니다.

지원내용

  • 2년간 총 480만 원 지원

  • 반기별 120만 원씩 지역화폐(경기지역화폐) 로 지급

  • 모집인원: 2,000명

신청기간
📅 2025년 10월 1일(09:00) ~ 10월 16일(18:00)

신청조건

  • 만 19세~39세 경기도 거주자

  • 경기도 내 중소기업 재직자이면서 4대 보험 가입자

  • 병역 이행자는 최대 3년 연령 연장 가능

  • 공공기관·공기업 재직자는 제외

소득기준

  • 건강보험 산정액 평균 127,195원 이하

  • 월 급여 약 359만 원 이하

단, 중복 참여 제한이 있습니다.
이미 비슷한 지원 제도에 참여 중이라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중복 불가 제도 예시

  •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 청년고용유지지원금

  • 청년마이스터통장

  • 청년통장두배만들기

  • 중소기업 청년소득세 감면

신청 전, 반드시 기존 참여 이력과 중복 여부를 확인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마치며

오늘은 청년 고용지원금과 청년지원금 중에서도
가장 실질적이고 활용도 높은 두 가지 정책을 정리했습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기업 인건비 지원 + 청년 근속 보상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 장기근속 유도 + 지역화폐 지원

청년 고용정책은 단순히 일자리 숫자를 늘리는 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근로환경 속에서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데 핵심이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지자체는 청년층의 취업 공백을 줄이고
중소기업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지원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다만, 각 제도마다 신청 자격·중복 제한이 있으니
신청 전 반드시 꼼꼼히 확인하시고, 나에게 꼭 맞는 정책을 놓치지 마세요 💪

다음 이전